[도서: 마음제어기법] 공학적 시선에서 감정을 탐구하다
김경달 작가님의 책 [마음제어기법]의 머리말인 "공학적 시선에서 감정을 탐구하다"는 이 책이 어떤 배경에서 탄생했는지, 그리고 우리가 왜 감정 제어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지에 대한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해 준답니다. 자, 그럼 작가님이 어떤 시선으로 감정을 탐구했고, 이것이 [마음제어기법]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함께 살펴볼까요? 공학적 시선에서 감정을 탐구하게 된 계기 김경달 작가님은 2005년경, 미래 로봇의 발전과 인간-로봇 상호작용을 연구하던 시절에 '감정'이라는 주제에 깊은 관심을 가지게 되셨다고 해요. 당시에는 통신, 컴퓨팅, 인공지능 기술이 아직 초기 단계였는데도, 로봇에게 몇 가지 감정을 무작위로 부여하고 변화를 주었을 때 나타나는 로봇 집단의 진화적 움직임에 대한 사고실험이 작가님께 깊은 통찰을 주었다고 합니다. 아주 단순한 감정의 변화만으로도 흥미로운 집단성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결론을 마주하면서, 인간의 감정 시스템을 공학적으로 이해하려는 시도가 시작된 거죠. 이 책이 나오기까지 무려 20여 년의 시간이 걸렸다고 하니, 작가님이 얼마나 깊이 감정을 탐구해 오셨는지 짐작할 수 있겠죠? 감정 문제에 대한 작가님의 따뜻한 공감과 문제 인식 작가님은 그 오랜 시간 동안 수많은 사람들과 교류하면서 우리가 일상에서 흔히 겪는 감정의 어려움들을 목격하셨대요. 감정의 낭비: 불필요하게 감정을 소모하는 모습. 감정 인식의 오류: 자신의 감정을 정확히 알아차리지 못하는 문제. 감정 이해 방식에 대한 무지: 감정을 다루는 방법을 잘 모르는 경우. 작가님 스스로도 외부적인 요인에 휘둘려 감정의 균형을 잃고 실수를 저지르기도 하셨다는 고백은 우리 모두에게 위로가 됩니다. 어쩌면 이런 현상이 인간이라는 존재의 자연스러운 이치일지도 모른다고 말씀하시면서도, 우리가 감정의 본질을 깊이 들여다보면 '좋은 감정'이 무조건 긍정적이지만은 않고, '나쁜 감정' 또한 무조건 부정적인 것만은 아니라는 것을 깨닫게 된다 고 하셨어...